-
SSH (Secure Shell Protocol) 개념개발/네트워크 2023. 6. 13. 21:31
SSH(Secure Shell Protocol)란
-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하게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고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
- SSH는 네트워크 연결을 암호화하고,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여 보안을 강화
- 주로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
사용방법
1. 원격 접속:
- SSH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
- 일반적으로 터미널 창에서 SSH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서버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 사용자 이름, 암호 또는 인증 키 등을 입력하여 접속
2. 명령 실행:- SSH를 통해 접속한 서버에서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
- SSH 세션을 통해 서버에 명령을 전달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음
3. 파일 전송:- SSH를 사용하여 파일을 안전하게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전송
- scp (Secure Copy)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을 복사하거나, sftp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음
SSH의 옵션
`man ssh` 명령을 사용하면 SSH의 자세한 옵션과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음
`-p` 또는 `--port`: SSH 연결에 사용할 포트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22입니다.
`-l` 또는 `--login-name`: SSH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할 로그인 이름을 지정합니다.
`-i` 또는 `--identity`: 인증 키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특정 개인 키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경우 유용합니다.
`-X` 또는 `--X11-forwarding`: X11 포워딩을 활성화하여 원격 서버에서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L` 또는 `--local-forward`: 로컬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로컬 포트와 원격 포트 간의 연결을 통해 로컬 시스템에서 원격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R` 또는 `--remote-forward`: 원격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원격 포트와 로컬 포트 간의 연결을 통해 원격 시스템에서 로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X` 또는 `--compression`: SSH 연결에서 데이터 압축을 활성화합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C` 또는 `--ciphers`: 사용할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정합니다.
`-N` 또는 `--no-shell`: SSH 세션을 열지 않고 접속만 수행합니다. 보통 포트 포워딩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개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4계층 (0) 2023.06.11 OSI 7 계층 정리 (0) 2023.06.08 와이파이(Wi-Fi)의 통신 방식 (0) 2023.06.01 다중화(Multiplexing) 방식 정리 (0) 2023.05.31 네트워크 전송 매체 정리 (0)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