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중화(Multiplexing) 방식 정리개발/네트워크 2023. 5. 31. 23:51
대학교 전공 수업으로 잠시 들었는데, 다시 한번 볼 기회가 생겼다. 보통 다중화 방식은 크게 TDM | 시간, SDM | 공간, CDM | 코드, FDM | 주파수로 나뉘고 그 이후에는 다중접속에 관한 이야기이다. 따라서 앞의 4개의 개념을 이해한 후 다중 접속에 대해 읽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Multiplexing(다중화)란
- 유한한 통신자원(회선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 다수의 저속채널을 하나의 전송로에 고속으로 보내는 방식
- 한 개의 회선에 다수의 단말기가 고속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여러 개의 소스에서 오는 디지털 신호를 한 가지 통신 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 시간을 여러 개의 슬롯으로 분할하여 다른 소스들이 각 슬롯을 할당받아 전송하는 방식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면서 시간을 나누어 통신하는 기술
- 각 사용자는 할당된 시간 슬롯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
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공간을 분할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기술
- 각 안테나는 서로 다른 공간 영역을 커버하고 사용자들 간에 간섭을 최소화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함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사용자들 간에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의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
- 각 사용자의 데이터는 코드로 구분되기 때문에 동시에 통신이 가능함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여러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다른 소스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각 소스는 고유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아 데이터를 전송함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을 공유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통신하는 기술
- 각 사용자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
DWDM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광섬유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여러 개의 광 파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각 광 파장은 고유한 데이터 스트림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음'개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계층 정리 (0) 2023.06.08 와이파이(Wi-Fi)의 통신 방식 (0) 2023.06.01 네트워크 전송 매체 정리 (0) 2023.05.28 네트워크 통신 장치의 종류 (0) 2023.05.28 [One Sheeter] 네트워크 관련 Linux Command (1) 202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