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전송 매체 정리개발/네트워크 2023. 5. 28. 17:47
전송매체 (Transmission Medium)
- 전기 또는 자기 신호를 전달하는 능력이 있는 물체
- 4가지 방식으로 등급을 산정
1. 대역폭 : 초당 비트 수로 측정되는 매체 속도
2. 신호 대 잡음비 : 신호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3. 비트 오류율 : 오류를 가진 비트들의 수 / 단위 시간 당 전송 받는 총 비트 수
4. 감쇠 : 신호가 이동 거리에 따라 약해지는 현상
- 전송매체는 유도매체와 비유도매체로 나뉨
유도 매체(Guided Media):
1번의 동축 케이블과 2번의 꼬임-쌍선 케이블은 구리선(Copper Cable)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3번의 광섬유 케이블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1.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 구리로 만들어진 케이블로서, 동심원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데이터 전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며, 대역폭도 넓습니다.
- 주로 케이블 TV, 네트워크 백본 등에 사용됩니다.
2. 트위스트드 페어 케이블(꼬임-쌍선 케이블) (Twisted Pair Cable):
- 두 개의 구리선이 서로 엮인 형태의 케이블로서, 주로 이더넷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쉽습니다.
- 전송 거리와 대역폭은 동축 케이블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 종류에는 UTP(비차폐, Unshielded Twisted Pair)와 STP(차폐, Shielded Twisted Pair)가 있습니다.
3.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 광섬유로 만들어진 케이블로서, 빛의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고 장거리 전송에 적합합니다.
- 전기적인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정적인 신호 품질을 제공합니다.
- 비교적 비싸고 설치와 유지보수가 복잡합니다.
비유도 매체(Unguided Media):
1. 무선(Wireless):
- 무선 통신을 위해 라디오 파장,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을 이용합니다.
- 사용자의 이동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전송 거리와 대역폭은 유도 매체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 주파수 혼잡이나 간섭으로 인해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주요한 예로는 Wi-Fi, 블루투스, 셀룰러 네트워크 등이 있습니다.
2. 위성(Satellite):
- 인공 위성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 광대역 통신과 장거리 통신이 가능합니다.
- 전송 지연이 존재하며, 날씨 조건에 따라 통신 가능 여부에 영향이 있습니다.
'개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파이(Wi-Fi)의 통신 방식 (0) 2023.06.01 다중화(Multiplexing) 방식 정리 (0) 2023.05.31 네트워크 통신 장치의 종류 (0) 2023.05.28 [One Sheeter] 네트워크 관련 Linux Command (1) 2023.05.21 IP주소 이해하기 / CIDR / 네트워크 세그먼트 (1)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