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돌아가는 소식/국내외 정치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표 결과

Grara 2025. 6. 7. 15:01

한국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2025년 6월 3일에 실시되었으며,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인해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치러진 조기 대선이다. 사전투표는 2025년 5월 29일과 5월 30일에 진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9.42%의 득표율(1,728만 표)로 당선되었다(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41.15%,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8.34%를 득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6월 4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이재명 후보를 대통령 당선인으로 공식 확정하였고, 당선인은 당선증을 받는 즉시 대통령으로서의 신분이 전환되며 임기가 시작되었다.

 

주요 특징:

  • 높은 투표율: 최종 투표율은 79.4%를 기록하며 국민들의 높은 정치 참여 열기와 변화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
  • 선거 쟁점: 2024년 비상계엄 위기, 국민의힘 내부 갈등, 경제, 부동산, 정치적 양극화, 미국의 관세 문제, 성평등, 출산율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들이 쟁점으로 부각
  • 후보: 주요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등이 출마. 조국혁신당은 대통령 후보를 내지 않아 기호 3번이 공석

투표 결과: 중앙선거관리 위원회 | 선거통계시스템 > 개표진행상황 > 대통령선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선거통계시스템 점검 안내 위원회 선거정보통신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스템 점검에 따라 서비스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점검시간 : 2024. 3. 23(토) 21:00 ~ 3. 24(일) 09

info.nec.go.kr

 

지역별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링크에 대한 내용을 나름대로 정리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었다.

 

투표율과 무효투표수간의 상관성이 있을까하여 일단 비슷한 색깔로 표시하였고, 투표를 하거나 유효투표가 많은 경우에 진한색으로 표시하였다. 그 외에는 지역에서 더 높은 비율을 얻은 투표율을 확인하기 위해 붉은색으로 정도를 표시하였으니 감안해서 보면 좋을 듯 하다.

시도명
선거인수
투표수
후보자별 득표수
무효
투표수
후보자별 득표율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무소속
송진호
 
서울특별시 8,293,885 6,641,606 3,105,459 2,738,405 655,346 83,900 5,998 6,589,108 52,498
    80.08 47.13 41.55 9.94 1.27 0.09   0.79
부산광역시 2,865,552 2,245,755 895,213 1,146,238 168,473 18,189 2,099 2,230,212 15,543
    78.37 40.14 51.39 7.55 0.81 0.09   0.69
대구광역시 2,049,078 1,643,051 379,130 1,103,913 135,376 12,531 1,362 1,632,312 10,739
    80.18 23.22 67.62 8.29 0.76 0.08   0.65
인천광역시 2,619,348 2,035,355 1,044,295 776,952 176,739 20,743 2,098 2,020,827 14,528
    77.70 51.67 38.44 8.74 1.02 0.1   0.71
광주광역시 1,194,471 1,002,149 844,682 79,937 62,104 8,767 934 996,424 5,725
    83.90 84.77 8.02 6.23 0.87 0.09   0.57
대전광역시 1,241,882 977,609 470,321 393,549 94,724 9,905 1,109 969,608 8,001
    78.72 48.5 40.58 9.76 1.02 0.11   0.82
울산광역시 934,509 747,950 315,820 353,180 63,177 9,299 899 742,375 5,575
    80.04 42.54 47.57 8.51 1.25 0.12   0.75
세종특별자치시 307,067 254,695 140,620 83,965 25,004 2,961 235 252,785 1,910
    82.94 55.62 33.21 9.89 1.17 0.09   0.75
경기도 11,715,343 9,297,448 4,821,148 3,504,620 816,435 84,074 8,356 9,234,633 62,815
    79.36 52.2 37.95 8.84 0.91 0.09   0.68
강원특별자치도 1,327,019 1,029,407 449,161 483,360 78,704 9,422 1,137 1,021,784 7,623
    77.57 43.95 47.3 7.7 0.92 0.11   0.74
충청북도 1,379,142 1,065,558 501,990 457,065 86,984 10,169 1,228 1,057,436 8,122
    77.26 47.47 43.22 8.22 0.96 0.11   0.76
충청남도 1,839,339 1,397,521 661,316 600,108 111,092 12,893 1,519 1,386,928 10,593
    75.98 47.68 43.26 8 0.92 0.1   0.76
전북특별자치도 1,510,908 1,246,099 1,023,272 134,996 67,961 10,061 1,719 1,238,009 8,090
    82.47 82.65 10.9 5.48 0.81 0.13   0.65
전라남도 1,559,431 1,303,365 1,111,941 110,624 60,822 9,352 2,104 1,294,843 8,522
    83.58 85.87 8.54 4.69 0.72 0.16   0.65
경상북도 2,213,614 1,747,364 442,683 1,159,594 116,094 13,884 1,788 1,734,043 13,321
    78.94 25.52 66.87 6.69 0.8 0.1   0.76
경상남도 2,776,028 2,179,989 851,733 1,123,843 161,579 21,809 2,678 2,161,642 18,347
    78.53 39.4 51.99 7.47 1 0.12   0.84
제주특별자치도 565,255 421,576 228,729 145,290 36,909 6,191 528 417,647 3,929
    74.58 54.76 34.78 8.83 1.48 0.12   0.93
합계 44,391,871 35,236,497 17,287,513 14,395,639 2,917,523 344,150 35,791 34,980,616 255,881
    79.38 49.42 41.15 8.34 0.98 0.1   0.73